고성군 (경상남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성군은 대한민국 경상남도에 위치한 군으로, 동명의 강원도 고성군과는 한자가 다르다. 삼한시대 변한의 고자미동국 본토이자 소가야의 도읍지였으며, 신라 시대에 고성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고주자사, 고성현으로 불리다 조선 시대에 경상남도 고성군이 되었다. 현재는 1읍 13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517.06km2이다. 지리적으로는 창원시, 진주시, 사천시, 통영시와 접하며, 당항포 전투가 있었던 당항포가 위치해 있다. 고성군은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유명하며,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 산지(천연기념물 제411호)가 위치해 있고, 소가야 축제, 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 등 다양한 문화 행사와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산업으로는 조선업, 농업(쌀, 채소, 과일 등), 수산업(멸치, 가자미, 대하 등)이 있으며, 영등포구, 자공시, 가사오카시 등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95년 폐지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995년 폐지 - 영암군
영암군은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 무역항으로 번성하고 왕인 박사의 일본 출발지로 알려졌으며, 조선업과 관광 자원, 다양한 문화 행사를 통해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2읍 9면으로 구성된 군이다. - 고성군 (경상남도) - 적진포 해전
- 고성군 (경상남도) - 당항포 해전
당항포 해전은 1592년 임진왜란 중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경상남도 고성군 당항포에서 일본 수군을 상대로 거둔 조선 수군의 첫 승리이자 이순신의 뛰어난 전략과 리더십을 보여주는 해전이다. - 757년 설치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757년 설치 - 거창군
거창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라 경덕왕 때 명명된 이후 행정구역을 형성, 거창읍과 11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양한 농축산물 생산과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연결되나 철도는 없는 군이다.
고성군 (경상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성군 |
한자 표기 | 城 |
로마자 표기 | Goseong-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Kosŏng-gun |
종류 | 군 |
지역 | 영남 |
방언 | 경상 방언 |
면적 | 660.71km² |
인구 (2024년 9월) | 48,356명 |
인구 밀도 | 116.8명/km² |
행정 구역 | 1읍, 13면 |
읍 | 1개 읍 |
면 | 13개 면 |
상징 | |
![]() | |
![]()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국화 |
군조 | 까치 |
상징 동물 | 공룡 |
행정 | |
군수 | 이상근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정점식(국민의힘, 통영시·고성군) |
군청 소재지 | 고성읍 성내로 130 (성내리 198) |
기타 | |
웹사이트 | 고성군청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강원도에 이름이 같은 고성군이 있지만, 경상남도의 고성군(固城郡)과 강원도의 고성군(高城郡)은 한자가 다르다.
고성읍은 옛 삼한시대에는 변한 12국 중의 하나인 고자미동국의 본토였으며, 42년부터 461년간은 소가야의 도읍지였던 곳이다.
총 면적은 517.06km2이며, 행정구역은 1읍 13면이다. 부속 도서는 23개로 유인도 2개, 무인도 21개이다. 고성군은 경상남도 중남부의 남쪽 끝에 위치하며, 아름다운 산, 바다, 들판 등 천혜의 관광 자원을 갖추고 있다.
통일신라 시대부터 고성군(固城郡)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3. 역사
737년 신라 효성왕 1년에 고자군으로 개칭되었고, 신라 경덕왕 16년에 주군현의 명칭을 중국식으로 변경할 때 고자군(古自郡)을 고성군으로 바꾸었다.[23]
995년 고려 성종 14년에는 고주자사(固州刺史)를 두었으며, 한때 철성(鐵城)으로 불리다가 고려 현종 9년 1018년에 고성현으로 개칭되었다.[23]
조선 고종 6년 1869년 8월 16일에 통제영이 소재하고 있던 춘원면에서 호적 관계 분규가 일어나자, 이를 수습하기 위하여 고종 7년 1870년에 읍치소를 고성에서 춘원면 통제영 안으로 옮겼다. 사태가 수습된 후 고종 9년 1872년에 다시 고성현으로 읍치소를 옮겨왔다. 1895년 고종 32년 5월 26일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시행된 23부제에 따라 진주부 고성군이 되었다가[11],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 13도제가 시행되면서 경상남도 고성군이 되었다.[23]
일제강점기인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 때 용남군의 광이면, 광남면이 고성군에 편입되었고[24], 1938년 10월 1일 고성면(固城面)이 고성읍으로 승격하였다.[17][24]연도 날짜 내용 비고 (관할 면 수) 1895년 5월 26일 진주부 고성군으로 개편[11]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고성군으로 개편[23] 1900년 5월 16일 도선면, 광이면, 광남면이 신설된 진남군에 편입됨[12] 1906년 9월 24일 진주군의 문선면, 남양면, 영오면, 영이곡면, 오읍곡면, 개천면을 편입[13] 23면 1912년 8월 1일 남양면이 사천군에 편입됨[14] 1914년 3월 1일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용남군의 광이면, 광남면을 편입하고 군 내 면을 14개로 통폐합[15][16] 14면 통폐합된 면: 고성면,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상리면, 대가면,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구만면, 회화면, 마암면, 동해면, 거류면 1918년 10월 1일 철성면을 고성면으로 개칭 14면 1938년 10월 1일 고성면이 고성읍으로 승격[17] 1읍 13면 1973년 7월 1일 마암면 사련리가 개천면에 편입됨[18] 1읍 13면 동해면 감서리가 거류면에 편입됨[18] 1983년 2월 15일 삼산면 이당리, 대덕리가 고성읍에 편입됨[19] 1읍 13면 개천면 나선리 선동촌이 구만면 화림리에 편입됨[19]
4. 지리
북동쪽으로는 창원시와 접하며, 북서쪽으로는 진주시와 접한다. 서쪽으로는 사천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통영시와 접한다. 동쪽은 바다와 접하며, 임진왜란 때 당항포 전투가 있었던 당항포가 있다.
정중앙을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관통하여 사천시와 통영시를 각각 이어주며, 국도 14호선, 33호선과도 연결되어 있다.[3]
남쪽의 하이면 덕명리에는 상족암 군립공원과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화석 산지가 있으며, 이곳에 고성공룡박물관이 있다.
고성군은 고도의 문화를 가진 고대 왕국인 소가야의 수도였다.[2]
5. 지질
경상남도 고성군은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인 곳인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화석 산지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층으로, 한반도 남부의 대표적인 백악기 퇴적 분지인 경상 분지의 경상 누층군 진동층에 해당한다.
5. 1.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화석 산지]]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화석 산지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11호이다. 약 1억 년 전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해안을 따라 약 41km에 걸쳐 1,900여족 이상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용각류, 조각류, 수각류 등 다양한 공룡의 발자국과 함께 새 발자국 화석도 포함된다. 이곳은 브라질, 캐나다의 화석지와 함께 세계 3대 공룡 발자국 화석지로 인정받는다.[26]
이 화석지는 한국 남해안의 다른 화석지들과 함께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이며,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가 추진되고 있다.[6]
6. 행정 구역
2011년 1월 1일 기준으로 고성군은 면적 517.28km2로 경상남도의 4.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24,965세대, 56,741명이고 그 중 45.4%가 고성읍에 거주한다. 도서는 총 23개로 21개의 무인도와 2개의 유인도가 있다.[25] 고성군은 1읍 13면으로 나뉜다.
명칭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km²) | 지도 |
---|---|---|---|---|---|
고성읍 | 固城邑 | 10,544 | 25,786 | 44.12km2 | |
삼산면 | 三山面 | 945 | 1,928 | 35.1km2 | |
하일면 | 下一面 | 989 | 2,069 | 30.99km2 | |
하이면 | 下二面 | 1,312 | 2,952 | 37.83km2 | |
상리면 | 上里面 | 896 | 1,818 | 45.99km2 | |
대가면 | 大可面 | 878 | 1,741 | 52.26km2 | |
영현면 | 永縣面 | 558 | 1,025 | 32.17km2 | |
영오면 | 永吾面 | 801 | 1,666 | 22.77km2 | |
개천면 | 介川面 | 651 | 1,375 | 40.45km2 | |
구만면 | 九萬面 | 627 | 1,200 | 22.23km2 | |
회화면 | 會華面 | 1,898 | 4,150 | 29.65km2 | |
마암면 | 馬岩面 | 967 | 2,132 | 33.7km2 | |
동해면 | 東海面 | 1,897 | 3,925 | 53.45km2 | |
거류면 | 巨流面 | 2,659 | 5,465 | 36.57km2 | |
고성군 | 固城郡 | 25,622 | 57,232 | 517.28km2 |
읍·면 | 법정리 |
---|---|
고성읍 | 성내리, 서외리, 수남리, 동외리, 송학리, 기월리, 교사리, 대덕리, 이당리, 무량리, 덕선리, 대평리, 우산리, 죽계리, 율대리, 월평리, 신월리 |
삼산면 | 병산리, 두부리, 미룡리, 삼봉리, 장치리, 판곡리 |
하일면 | 동화리, 오방리, 춘암리, 송천리, 학림리, 수양리, 용대리 |
하이면 | 덕호리, 덕명리, 월흥리, 사곡리, 석지리, 와룡리, 봉현리, 봉원리 |
상리면 | 구봉리, 신촌리, 오산리, 척번정리, 동산리, 망림리, 무선리, 자은리, 부포리 |
대가면 | 송계리, 신전리, 갈천리, 양화리, 연지리, 유흥리, 암달리, 금산리, 척정리 |
영현면 | 추계리, 봉발리, 봉림리, 대법리, 영부리, 저점리, 신분리, 연화리 |
영오면 | 영산리, 영대리, 오서리, 오동리, 성곡리, 연당리, 양산리 |
개천면 | 명성리, 예성리, 북평리, 용안리, 봉치리, 청광리, 나선리, 개천리, 사련리 |
구만면 | 효락리, 주평리, 화림리, 저련리, 용와리, 광덕리 |
회화면 | 배둔리, 당항리, 봉동리, 어신리, 삼덕리, 녹명리 |
마암면 | 두호리, 삼락리, 보전리, 도전리, 성전리, 화산리, 장산리, 석마리, 신리 |
동해면 | 내곡리, 내산리, 봉암리, 양촌리, 외곡리, 외산리, 용정리, 장기리, 장사리 |
거류면 | 당동리, 신룡리, 화당리, 거산리, 송산리, 은월리, 용산리, 감서리, 가례리 |
7. 군청
현재 고성군청은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에 위치하고 있다.
8. 문화
- 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
- 고성 오광대
- 고성농요
고성은 고대 가야 왕국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성군은 전설 속 인물들의 행진을 재현하는 연례 행사인 "소가야 축제"를 개최한다.
또한, 고성 항구 근처 당항포 해전에서 일본 침략군을 물리친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행사도 개최한다.[4] 2016년 4월 1일부터 6월 12일까지 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가 열리기도 했다.
9. 관광
고성은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유명하며, 관련 시설과 행사가 활발히 이루어진다.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화석 산지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1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해안 약 41km에 걸쳐 1,900여 개 이상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곳이다. 용각류, 조각류, 수각류 등 다양한 공룡의 발자국과 함께 새 발자국 화석도 발견되었다. 이곳은 브라질, 캐나다의 화석지와 더불어 세계 3대 공룡 발자국 화석지로 인정받고 있으며,[26]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한국 남해안 화석지의 일부이기도 하다.[6] 상족암군립공원 내에 위치하며, 고성공룡박물관도 이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고성군은 2016년 당항포 관광지와 상족암 군립공원에서 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를 개최하는 등 공룡을 테마로 한 관광 사업에 힘쓰고 있다.[4]
역사적으로 고성은 고대 가야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이를 기념하는 "소가야 축제"가 매년 열린다.[4] 또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당항포 해전에서 일본 수군을 크게 물리친 것을 기념하는 행사도 개최된다.[4] 송학동 고분군은 약 600년경 가야 시대 지도자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유적이다. 중요무형문화재인 고성 오광대는 한국의 전통 가면극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 자산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다.
- 연화산도립공원
- 남산공원
- 옥천사
- 문수암
- 장의사
- 금태산 계성사
9. 1. 시장
고성군을 대표하는 전통시장 중 하나로 고성시장이 있다.9. 2. 서원
- 도산서원
- 도면서원
- 수림서원
- 위계서원
- 갈천서원
9. 3. 옛 집
- 박진사 고가
- 허씨 고가
- 이씨 고가
- 최씨 고가
- 소산정사
- 육영재
9. 4. 임진왜란 관련 유적
- 당항포 관광지 (당항포 해전)
- 소천정
- 호암사
- 운흥사
10. 교육
고성군에는 유아 교육을 담당하는 유치원부터 시작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의 교육 기관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내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10. 1. 고등학교
11. 교통
경상남도 고성군은 통영대전고속도로를 비롯한 고속도로망과 여러 국도가 통과하여 다른 지역과의 접근성이 비교적 양호하다. 군 내에서는 농어촌버스가 주요 대중교통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주민들의 이동을 돕고 있다.
11. 1. 고속도로
고성군을 통과하는 고속도로는 통영대전고속도로이며, 군내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11. 2. 버스
고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주로 시골 지역을 연결하는 소규모 대중교통 수단이다. 운행은 고성버스가 유일하게 담당하고 있다.11. 3. 국도
12. 경제
고성군의 주요 산업은 조선업, 농업, 수산업이다. 인근 거제시와 함께 조선업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농산물과 수산물이 생산된다.
12. 1. 조선업
고성군은 인근 거제 지역과 함께 조선업 클러스터로 지정되었다. 2007년 7월, 기획재정부는 부지 확보 후 단지 조성을 확정했고, 2008년 4월 공사가 시작되었다.[5]12. 2. 농산물
고성군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은 다음과 같다.12. 3. 수산물
13. 자매 도시
14. 우호 도시
15. 국내 자매결연
2010년 2월 1일 기준 국내 자매결연 도시는 다음과 같다.[27]
광역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 |
---|---|
서울특별시 | 영등포구 |
광주광역시 | 북구 |
전라북도 | 무주군 |
전라남도 | 완도군 |
대구광역시 | 남구, 군위군 |
인천광역시 | 부평구 |
대전광역시 | 유성구 |
울산광역시 | 북구 |
강원특별자치도 | 평창군 |
충청북도 | 충주시 |
충청남도 | 금산군 |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
경상남도 | 통영시 |
16.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뉴스
가야 지배자들의 무덤을 찾아서
http://www.dailian.c[...]
Dayliannews
2007-01-16
[3]
웹사이트
from County website
[4]
뉴스
고성 소가야문화제 개막 / Opening festival of Goseong
http://news.naver.co[...]
2006-10-11
[5]
뉴스
고성 조선산업특구 조성 4월 착공 / Goseong starting shipbuilding cluster from next April
http://news.chosun.c[...]
2008-01-15
[6]
뉴스
남해안 공룡화석지 국제심포지엄 개최
http://news.naver.co[...]
Newsis
2007-02-22
[7]
웹사이트
여자축구대표 출신 정정숙씨 별세
http://sports.news.n[...]
Naver
2011-06-27
[8]
웹사이트
시간을 거슬러 순간을 붙들다
http://www.gosnews.k[...]
2017-02-10
[9]
뉴스
DPRK Says Probe Of Detained South Korean Underway
http://www.turkishwe[...]
2009-05-01
[1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1]
법령
勅令第98号23府制実施
[12]
법령
勅令第19号
[13]
법령
勅令第49号
[14]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29号
1912-07-17
[15]
법령
慶尚南道令第2号
[16]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7]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97号
[18]
법령
大統領令第6542号
1973-03-12
[19]
법령
大統領令第11027号
1983-01-10
[20]
웹사이트
Goseong, South Korea
http://sister-cities[...]
[2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3]
웹사이트
고성군 지명유래
http://www.goseong.g[...]
고성군청
2008-10-20
[2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09-27
[25]
웹사이트
고성통계
http://www.goseong.g[...]
2011-07-08
[26]
위키백과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화석 산지
[27]
웹인용
고성군-자매결연 단체
http://www.goseong.g[...]
2011-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